⛅상황
- 우리 팀은 나를 포함하여 총 4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두 같은 학년이고 같은 수업을 듣는다.)
- 나를 제외한 3명은 나보다 2살 많으며 프로젝트 팀 구성전에 이미 친분관계가 두터웠다.
- 그중에 2명은 프론트 팀, 나머지 한 명은 나와 같이 백엔드를 맡은 팀원이었다.
- 그런데 백엔드를 함께하게될 팀원은 개발을 혼자 하는 것을 선호하였고, 개발 현황에 대해 공유하는 것도 능숙한 편은 아니었다. 이건 그 팀원의 잘못임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프로젝트 진행에 약간의 어려움이 발생했다는 것을 말하고 싶은 것이다.
- 백엔드를 함께 맡은 팀원은 나보다 실력은 조금 더 좋은 편이었고, 팀장이었다. 내가 백엔드 관련해서 기능을 맡아 코드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내가 먼저 물어봐야 했다. 먼저 역할을 나눠서 주는 타입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 프로젝트 이외에도 이미 친구관계인 팀원들은 회의 때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속 여기저기(?)에서 프로젝트에 관해서 얘기를 하다 보니까 나와는 약간 정보의 격차(?)가 생길 때가 있었다.
-> 이러한 상황은 나에게 소외감(?)과 내가 이 팀에 필요가 없다는 생각이 들게 만들었다.
⭐과정
- 이러한 사실을 모르지는 않았기 때문에 중간중간 먼저 다가가서 질문이나 개발 현황에 대해서 물어보곤 했었다.
- 하지만 노력이 무색하게 상황이 크게 달라지는 것이 없었다.
- 그런데 나에게 아주 큰 생각의 오류가 있다느 것을 발견하였다.
그것은 바로!!!
코드 개발 진행 방식에 있어
초보라면 초보의 방식에 맞게 진행 해야하지만
이제까지 실력자 수준의 진행 방식만이 곧 정답이라고만 생각하여 지금까지 그렇게 진행해 왔다.
- 나는 지금까지 어떤 부분을 맡아서 코드를 짜기로 했다면 다른 팀원들에게 최대한 질문하지 않고 혼자서 알아서 코드를 짜오는 것이 책임감이라고 생각하고 그게 곧 실력(?)이라고 생각하여 그렇게 행동해 왔다.
- 막상 그렇게 진행하면 나중에 다른 팀원들과 합쳤을 때 문제가 되는 부분도 있었고, 대화의 부족으로 인해 아쉬운 부분들도 있었는데 그 방식이 문제라고는 전혀 생각하지 못했다.
- 하지만 이러한 문제를 같은 과 학우에게 공유하니 위와 같은 문제점을 나에게 지적해 주었다.
우리는 아직 실력자 수준이 아니니 주변 팀원들과 더 자주 이야기하고 물어보면서 코드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고. 그래야 나중에 생길 수 있는 문제들을 최소화하고 코드 작업의 방향성도 더 잘 잡을 수 있다고 했다.
❤️향후방향
머리가 띵해지는 문제점&해결방안이었다. 나중에 회사에 가서도 똑같을지는 모르겠지만 적어도 이번 한이음 프로젝트에서는 이번 해결방안을 확실히 적용시켜 코드 작업 시에도 백엔드뿐만 아니라 프론트 팀과도 더욱 소통하여 가닥을 잡아나가며 더욱 소통 지향적인 방식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개발일지 > 2023_한이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발] 🚨ERROR - org.h2.jdbc.JdbcSQLIntegrityConstraintViolationException: (0) | 2023.05.25 |
---|---|
[개발] Post Men 첫 사용 _ 여러가지 오류들 (0) | 2023.05.25 |
[개발] 🤦🏻♀️고민하기 - Service/ServiceImpl 사용에 대한 (0) | 2023.05.24 |
[개발외] 프로젝트 기반 준비 (0) | 2023.05.23 |
[개발외] 한이음 내부의 깃랩 사용 (1) | 2023.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