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 3

[궁금증] NAT 게이트웨이 - 프라이빗 ip주소로 변환한 다음에는..? + 느낀점

❓nat 게이트웨이는 프라이빗 ip주소를 퍼블릭 ip 주소로 변환해서 인터넷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데, 그러면 변환을 잠깐 했다가 바로 다시 프라이빗 ip주소로 바꾸는 건가? 변환을 잠깐만 하고 다시 프라이빗 IP 주소로 되돌리는 것은 아니다. NAT 게이트웨이는 프라이빗 IP주소를 퍼블릭 IP주소로 변환하여 인터넷과 통신하게 하지만, 변환된 IP주소는 연결 상태 테이블에 기록되고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된다. 이렇게 연결 상태에 따라 패킷의 변환 정보가 관리되므로, 다시 프라이빗 IP주소로 변환되는 것이 아니라 원래의 변환 정보를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통신하도록 한다. 그렇다면 여기서 또 드는 의문!! ❓그러면 테이블에 적힌 변환된 IP주소가 유출될 가능성은 없는가? 있다... 연결 상태 테이블에 저장된..

[궁금증] S3에서 객체 업로드 시 비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

각 버전은 별개의 객체로 보존되기 때문에 추가 요금이 발생한다. 객체 갱신 시(put)에는 기존 객체와 다른 새로운 버전 ID가 부여된다. 라고 책에 나와있었다. 그런데 의문이 들었다. ❓최대한 한 번에 객체를 업로드하려고 해도 계속해서 추가로 객체를 업로드할 일이 생길 텐데 그럴 때마다 비용이 발생한다는 것이 께름칙(?)해서 비용이 발생하지 않게 하도록 하는 방법이 없는지 의문이 들었다. 버전 관리 비활성화: 이미지를 업로드할 때 버전 관리를 비활성화합니다. 버전 관리를 비활성화하면 새로운 객체 업로드 시 이전 버전은 보존되지 않으므로 스토리지 요금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Overwrite 사용: 이미지를 업로드할 때 동일한 객체 키(Object Key)를 사용하여 Overwrite(덮어쓰기) 옵션을..

그림과 작동 원리로 쉽게 이해하는 AWS 구조와 서비스

이번 한이음 프로젝트에서 서버 배포 과정을 거치면서 AWS/Cloud 세계를 접하게 되면서 추가적으로 이 부분에 대한 공부가 필수적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빨리 기초지식을 쌓아서 백엔드 팀원으로서 서버 쪽으로 팀에게 보탬이 제대로 되고 싶다!!! 그래서 가급적 최~~~ 대한 빨리 이 책을 끝낼 계획이다. 특별히 중요한 부분이 있다면 추가로 블로그에 정리를 할 수도 있지만 책의 내용이 대체로 다 중요할 거 같아 시간이 많이 요소 될 거 같으므로 나중에도 지속적으로 공부할 수 있고,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챕터마다 주요 질문들, 내용들을 다시금 상기시킬 수 있는 질문만 정리해서 올릴 예정이다. https://smartstore.naver.com/doggaebiboooks/products/87519610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