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
<< 멘토분께 조언을 구하기 전 >>
- 나는 일단 하나의 api를 통해서 게시글의 내용들 + 이미지를 한 번에 처리하도록 구현하였다.
- 이미지를 포함한 게시판 기능을 계속해서 개발하던 중에 프런트 팀과 이야기를 나누게 되었는데 그 팀원의 의견은 다음과 같았다.
1.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정상적인 이미지를 올리지 못하거나, 업로드에 실패했을 시에 하나의 api로 진행하게 되면 작성 중이던 게시글까지 날아가게 되니 사용자 입장에서 불편할 수 있는 상황이 생길 것이다.
2. api 분리를 하면 CDN을 이용해서 좀 더 빠르게 렌더링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하지만 나는 아무리 생각해도 하나의 api로 처리를 하는 것이 괜히 일을 2번 만들지 않고 간단하게 진행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생각이 좁혀지지 않았고, 결국 멘토분께 조언을 구하기로 하였다.
<< 멘토분께 조언을 구한 후 >>
교수님께 기존에 어떻게 진행했는지 여쭤보셔서 말씀을 드렸더니 일단은 큰 문제는 없을 거 같다고 말씀하셨다.
그래서 그냥 진행해도 작동하는 데에 큰 문제는 없겠지만 그래도 바꿔봐야 한다고 생각을 한 이유가 있다.
- 멘토분께서 보통의(정석의)방식이 무엇인지 말씀을 해주셨는데 내 방식은 그 방식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버린 이상 뭔가 편한 대로 진행하는 것 같아서 마음이 불편했다.
- 위에서 등장한 프론트 팀원과 다시 이야기했을 때 나에게 문제점을 이야기해 주었다.
"이미지가 알맞은 형식이 아니거나 너무 큰 이미지이면 글 작성에 실패한다는 것"
명백하게 문제가 생길 수 있는 상황을 알면서도 알면서도 그냥 지나치는 건 개발자로서 있을 수 없는 일 + 나의 성장을 위해선 많은 경험이 중요!!!
- Base64? 이런 것들로 이미지 자체를 텍스트화해서 처리하는 방법도 팀원이 제안을 했지만 aws를 활용하면서 S3를 사용할 수 있는 상황에 있으니 반드시 S3를 활용해서 진행하고 싶었다.
- 정석의 방식을 사용해서 더 성장하고, 어렵고, 다양한 경험을 하고 싶었다.
- 그런데 문제는 멘토분께서 말씀하시는 것이 잘 와닿지 않았다...ㅋㅋㅋㅋ
아예 처음해보는 작업인 데다가 로컬이 아닌 aws를 활용해서 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도 있고, 막막했다.

'개발일지 > 2023_한이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st men] 415 error - Content-Type (0) | 2023.08.27 |
---|---|
[spring boot] S3 이미지 처리_업로드 구조 변경(api 분리) (0) | 2023.08.26 |
[aws] 프로젝트 build와 jar 파일 실행의 차이 (0) | 2023.08.19 |
[aws] 첫걸음 때기의 기쁨 (서버 배포 성공) (0) | 2023.08.18 |
[aws] RDS DB이름 확인하기 (0) | 2023.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