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바 개발 도구인 JDK를 이용해 개발된 프로그램은 JRE에 의해 가상의 컴퓨터인 JVM 상에서 구동된다.
코드 실행 영역 | 데이터 저장 영역 |
--> 프로그램이 메모리를 사용하는 방식
- JRE는 먼저 프로그램 안에 main () 메서드가 있는지 확인한다.
JRE는 Start 클래스에서 main 메서드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main() 메서드의 존재가 확인되면 JRE는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사 전 준비에 착수한다. 가상의 기제인 JVM에 전원을 넣어 부팅하는 것이다. 부팅된 JVM은 목적 파일을 받아 그 목적 파일을 실행한다. JVM이 맨 먼저 하는 일은 전처리라고 하는 과정이다. 모든 자바 프 로그램이 반드시 포함하게 되는 패키지가 있다. 바로 java.Iang 패키지다. JVM은 가장 먼저 java.lang 패키지를 T 메모리의 스태틱 영역에 가져다 놓는다. java.lang 패키지가 있기에 System. out.printin () 같은 메서드를 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main() 메서드가 실행되기 전 JVM에서 수행하는 전처리 작업들
- java.lang 패키지를 T 메모리의 스태틱 영역에 배치한다.
- import된 패키지를 T 메모리의 스태틱 영역에 배치한다.
- 프로그램 상의 모든 클래스를 T 메모리의 스태틱 영역에 배치한다..
- 여는 중괄호를 만들 때마다 스택 프로엠이 하나씩 생긴다. 클래스 정의를 시작하는 여는 중괄호만 빼고 말이다.
- main() 메서드가 프로그램의 시작점이라고 했는데 끝이기도 하다.

교제 (출처) - 스프링 입문을 위한 자바 객체 지향의 원리와 이해
'개발공부 > 객체 지향의 원리와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객체 지향의 원리와 이해] - 3단원 (0) | 2022.12.29 |
---|---|
[객체 지향의 원리와 이해] - 3단원 (0) | 2022.12.27 |
[객체 지향의 원리와 이해] - 2단원 (1) | 2022.12.25 |
[객체 지향의 원리와 이해] - 2단원 (0) | 2022.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