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공부/객체 지향의 원리와 이해

[객체 지향의 원리와 이해] - 2단원

기억지기 개발자 2022. 12. 24. 10:40
int i 라는 명령은 
메모리에 4바이트 크기의 정수 저장 공간을 마련하라는 것이다.


  • if문을 실행하면 main() 메서드의 스택 프레임 안에 if 문의 블록 스택 프레임이 중첩되어 생성된다.
  • if 블록 중 참일 때의 블록을 종료하는 닫는 중괄호를 만나면 if 블록 스택 프레임은 스택 영역에서 사라진다.

느낀점(배운점)

교제에서는 메모리의 상태를 그림을 그려가며 공부하게 구성되어 있는데 변수를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그려놨는데

처음에는 큰 의미가 없다고 생각했었지만 나중에 더 깊이 생각해보니 

이 T 메모리 구조에서는 " int i = 10 " 이라고 했을 때, i 라는 변수를 먼저 할당(생성)하니까 바깥 사각형으로 표시를 한 것이고, 그 다음에 값이 들어오니까 또 사각형으로 표현을 한 것이다. 한마디로 하나의 과정이 아니라 다른 과정이니까 다른 사각형으로 표현한 것이다.

메모리의 상태 중 변수의 표현

 

 

출처  - 스프링 입문을 위한 자바 객체 지향의 원리와 이해